안녕하세요. 한지붕네식구입니다.
#일본엔저 또는 #슈퍼엔저 현상이 한국에 줄 영향은 도대체 어떨까요?
최근, 엔화가치가 33년만에 최저치에 접근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물가가 거의 10년 전과 비슷하기 때문에,
현재 상대적으로 일본에서 소비하기에 매우 적합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본으로의 여행을 선택하는 한국인들이 저가로 즐길 수 있는
'일본의 경치와 가치'도 더욱 귀중하게 되겠습니다.
일본 엔화가 약세를 보이는 이유는??
일본은 유일하게 물가 디플레이션으로,
10년 가까이 단기 금리를 -0.1% 마이너스를 유지하고 있어서
이것이 엔화 약세의 대표적인 원인 중 하나입니다.
이는 쉽게 말해서 일본은 경제 성장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입니다.
금리가 마이너스라면?
당연히 기업은 돈을 빌려서 투자를 하겠죠?
금리가 낮으니 말이죠.
개인은요?
개인도 돈을 은행으로부터 싼 금리로 그것도 마이너스!!!로 빌려서
자기가 하고 싶은것을 마구 소비합니다.
따라서, 나라에 엔화가 어마어마하게 풀리는 것입니다.
돈이 풀리니, 가치가 떨어지는것입니다.
경기 부양을 목적으로
일본이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유지하면
성장에는 큰 도움이 되지만,
그만큼 국가 부채가 늘어나는 양날의 검인 셈입니다.
사실 미국 FOMC의 행보와는 전혀 다른 해석으로 국가 통화 정책을 운영한다고 볼 수 있지만,
그 목적은 결국 엔화 약세로 수익이 개선된 기업이 설비투자를 늘리고, 고용을 증가시키고, 임금을 인상함으로써,
소득에서 지출로 긍정적인 순환이 강화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일본의 입장인거죠.
일본의 경제 정책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최근, 무역수지 적자로 인해 일본과 경쟁에서 불리해 지고 있는 수출품도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지만,
과거와 비교하여 일본과 주요산업에서 글로벌 우위를 선점하고 있는
가전, 반도체등에서 큰 문제는 없어보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일본과 경쟁구도에 있을 산업군에서는 부작용이 없을 수 없으며,
특히나, 일본으로의 한국인 관광객이 증가된다는 말은
국내 관광 산업(카지노,호텔, 숙박업) 및 코엑스와 같은 전시장 이익이 감소하는등 많은 문제점이 예상됩니다.
'일상,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택시에 물건을 두고 내렸을 때 손쉽게 찾는 법! (0) | 2024.03.19 |
---|---|
[경제]2024년 주택담보대출 갈아타기 서비스 (5) | 2024.01.07 |
[경제] 주택담보대출에DSR은 무엇인가? (7) | 2024.01.05 |
[경제] 2024년 달라지는 육아휴직제도? (5) | 2024.01.01 |
[서평] 정리하는 뇌 (0) | 2023.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