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사회를 준비하는 우리의 자세
본문 바로가기

일상,경제 이야기

고령화 사회를 준비하는 우리의 자세

반응형


반갑습니다. 오늘도 한지붕네식구이야기입니다.
요즘 관심있게 들여다보고 있는 책 중에 추락하는 일본의 출산율이 한국보다 높은 이유라는 책(한반도미래연구원)에서 보면 우리 나라의 고령화 사회에 대해서 언급된 내용이 있다.
국제연합(UN)의 기준에 따르면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인 고령자 인구 비율이 7%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이상이면 고령 사회, 20%이상이면 초고령 사회로 구분된다.
이미 각종 매스컴을 통해서 널리 알려진만큼 일본은 이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지 오래되었다. 1994년부터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지만, 우리 나라의 경우도 이미 2017년에 진입했을만큼 고령화 사회에 대해서 인지할 필요는 있겠다.
하지만, 놀라운 사실은 우리나라의 고령화 사회 진입 속도가 일본보다 더 빨랐다면 믿겨지는가?

 고령화 사회고령 사회소요기간
일본1970년1994년24년
한국2000년2017년17년

 
 그렇다면 이런 고령 사회로 진입하게 되면 어떤 문제가 생길까? 아무래도 경제 인구가 감소되는 부분이 가장 큰 이슈이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게다가 그에 발맞춰 외국인 인력 문제와 로봇 시대가 점점 더 가속화 될 것으로 보인다.
어떠한 문제가 생길지? 그에 대해 우리가 대처해야 할 자세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겠다.
See u soon!
 

반응형